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내 프랜차이즈 카페 이용 순위 Top 15 (성별, 연령별 분석 & 만족도 & 이용 이유)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2023년) 1월 기준 전국 카페 매장 수는 총 9만 3414개를 기록하며 곧 10만 개를 코앞에 두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인 2020년 1월 6만 2278곳에서 50% 증가한 수치입니다.

우리는 하루 일과를 보내면서 졸립거나 피곤할 때, 혹은 무료하거나 에너지가 필요할 때, 또는 식사를 하고 후식으로 등등의 이유로 하루에도 여러 번 커피를 찾게 되는데요, 그만큼 커피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뗄래야 뗄 수 없는 필수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에서는 국내 카페 시장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국내 프랜차이즈/비프랜차이즈 카페의 이용 순위, 성별⬝연령별 선호도와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1. 조사 설계 


- 조사 대상: 최근 1개월 내 카페/베이커리 음료를 매장 음용 또는 테이크아웃한 자 

- 조사 지역: 전국

- 응답자 수: 본 조사 1,000명 

- 조사 기간: 2023년 9월 10일 ~ 11일 

    응답자 특성 
응답자-특성
(이미지 출처=오픈서베이)


2. 평소 주 이용하는 카페 유형


평소 대형·고가 커피 프랜차이즈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39.9%), 그 다음으로 소형·저가 프랜차이즈를 이용합니다(30.6%). 비프랜차이즈/개인 커피 전문점은 세 번째로 많이 이용합니다(14.5%). 

대형·고가 커피 프랜차이즈는 남성(66.0%)보다 여성(78.8%)의 이용률이 더 높았고, 20대(72.4%)보다 30대(77.9%), 40대(77.0%)의 이용률이 더 높았으며, 50대(64.2%)에서 최저를 나타냈습니다.

소형·저가 프랜차이즈는 남성과 여성의 이용률이 거의 비슷했지만 남성이 1.2% 더 많은 이용을 했다고 답했으며, 주로 이용하는 연령층은 20대(68.8%)로 나타났고, 역시 50대(50.9%)에서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비프랜차이즈/개인 커피 전문점은 남성(51.9%)보다 여성(56.0%)이 더 많이 이용한다고 답했으며, 20대(55.7%)30대(55.4%)의 이용률이 거의 비슷한 수치로 가장 높았습니다. 

평소-주-이용하는-카페-유형(이미지 출처=오픈서베이)


스타벅스-카페-사진
(이미지 출처=셔터스톡)

3. 평소 주 이용하는 프랜차이즈 카페 (Top 15)


프랜차이즈 카페 중에서는 스타벅스, 메가커피, 투썸플레이스 등의 순서로 주 이용률이 높습니다. 

스타벅스(65.6%)는 여성과 30~40대의 주 이용률이 높은 편이고, 메가커피(35.5%)는 남성과 20대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합니다. 

또한 투썸플레이스(30.2%)는 남성보다 여성의 이용률이 더 높으며, 전 연령층이 비슷하게 이용하지만 30대의 이용률은 가장 적습니다.

컴포즈커피(21.3%)는 여성과 남성의 이용률이 거의 비슷하며, 20대와 40대가 많이 이용하고, 
50대의 이용률이 가장 떨어집니다. 

이디야(18.7%)는 남성이 더 많이 이용하며, 20대가 가장 많이, 30대가 가장 적게 이용합니다. 
                
빽다방(16.5%) 또한 남성의 이용률이 더 높으며, 20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고, 50대가 두 번째로 많이 이용합니다. 

그 다음 순위의 카페는 아래의 표를 참고하세요.

평소-주-이용-프랜차이즈-카페


4. 주 이용하는 카페 만족도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주 이용 카페의 만족도를 설문 했을 때,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 컴포즈커피 4.23점

2위. 빽다방 4.20점

3위. 메가커피 4.02점

4위. 스타벅스 3.97점

5위. 이디야 3.93점

6위. 투썸플레이스 3.82점

컴포즈커피와 빽다방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투썸플레이스는 주요 프랜차이즈 카페 중 이용 만족도가 가장 낮습니다.
주-이용-카페-만족도


5. [매장 내 음용] 카페별 이용 이유


카페 브랜드별로 매장을 주로 이용하는 이유가 다릅니다.
 
스타벅스는 기프티콘 사용 목적이나 주문의 편리성으로 인해 이용한다는 답변이 최근 매장 내 음용 카페 6곳 중에 가장 높았습니다. 

메가커피는 가격이 저렴하고 음료가 맛있어서, 또한 집에서 가까워서 이용하며, 

투썸플레이스는 역 근처/번화가에 위치해서 이용합니다. 

이디야는 매장이 넓고 직장/학교/학원에서 가까워서, 또 적립/혜택/이벤트가 많고 매장 내 시설이 좋아서 주로 이용합니다. 그 외 음료가 다양해서, 직원이 친절해서 이용한다는 답변도 높았습니다. 

또한 비프랜차이즈/개인 커피 전문점은 인테리어가 마음에 들고 조용한 매장 때문에 이용하며, 베이커리/디저트 전문점은 음식/디저트가 다양하고 맛있어서 이용합니다. 
                    
카페별-이용-이유-매장-내-음용


6. [테이크아웃] 카페별 이용 이유


카페 브랜드별로 테이크아웃 시 주로 이용하는 이유 역시 다르게 나타납니다.

스타벅스는 기프티콘 사용 목적, 주문이 편리해서, 적립/혜택/이벤트가 많아서, 역 근처/번화가에 위치해서, 드라이브 스루 이용이 가능해서, 자유롭게 커스텀하여 먹을 수 있어서 이용합니다.  

메가커피는 가격이 저렴해서, 
컴포즈커피는 집에서 가깝고 주문한 게 빨리 나와서, 
이디야는 직장/학교/학원에서 가까워서 이용합니다.

마지막으로 비프랜차이즈/개인 커피 전문점은 음료와 음식/디저트가 다양하고 맛있어서 테이크아웃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카페별-이용-이유-테이크아웃



지금까지 국내 프랜차이즈 카페의 이용 순위와 카페 시장 전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주변에 수없이 많은 카페의 홍수 속에서 일상의 필수 기호 식품인 커피를 더욱 현명하게 구매하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저의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출처: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 (카페 트렌드 리포트 2023)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계 운동화 브랜드 판매 순위 TOP 7

a1 안녕하세요~ 허니듀입니다. 운동화는 거의 대부분의 옷과 궁합이 좋으며, '일상화'라고 봐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운동할 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신기 좋은 걷기 편한 신발인데요,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해인 2022년 기준 국내 신발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3% 성장한 7조원 규모를 넘어섰으며, 이 중 운동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51%로 절반을 넘겼다고 합니다. 반면, 같은 기간 구두의 비중은 3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운동화는 이제 기능성에서 패셔너블한 것으로 변모했을 뿐만 아니라 일부는 하이엔드 럭셔리로 여겨지며 수집가들의 아이템으로까지 부상했습니다. 그렇다면 작년(2022) 한 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운동화 브랜드는 무엇일까요❓ (이미지 출처=스태티스타) 1위. 나이키 (Nike): 291억 달러 2위. 아디다스 (Adidas): 131억 달러 3위. 스케쳐스 (Skechers): 74억 달러 4위. 푸마 (Puma): 45억 달러 5위. 아식스 (Asics): 30억 달러 6위. 컨버스 (Converse): 21억 달러 7위. 언더아머 (Under Armour): 14억 달러 나이키의 전 세계 매출 1964년 1월에 설립된 나이키(Nike)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운동화 및 의류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 기업입니다. 2022년 기준 이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약 80,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2022년 Nike의 전 세계 매출은 약 467억 1천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20억 달러 이상 증가했습니다.  그 중 스포츠 신발 부문에서  291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 하였으며, 이 수치는 가장 가까운 두 라이벌인 아디다스(adidas)와 스케쳐스 ( Skechers) 의 신발 수익을 합친 것보다 큽니다.  2022년 Nike의 신발 매출 중 70억 달러 이상이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EMEA) 에서 발생했으며,  40억 달러는 아시아 태평양 및 라틴 아메리카의 신흥 시장...

고양이는 왜 혼자 다닐까? (고양이의 습성)

  고양이가 혼자 다니는 이유 고양이는 독립적이고 고독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리를 짓지 않고 혼자 다니는 것을 선택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고양이의 사회 구조 종종 명확한 알파 구성원으로 구성된 무리 구조를 형성하는 개와 같은 고도로 사회적인 동물과 달리 고양이는 보다 미묘한 사회 조직을 형성합니다. 고양이의 사회 구조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 사냥: 고양이는 일반적으로 고독한 사냥꾼이며, 그들의 조상 또한 고독한 포식자였습니다. 무리를 짓는 동물과는 달리, 그들은 집단 사냥에 크게 의존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고독한 성격은 많은 야생 고양이 종들이 종종 혼자 발견된다는 사실에 반영됩니다.  그들은 잡은 것을 공유하지 않거나 먹이를 잡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혼자 사냥을 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 작용: 개와 같은 일부 무리 동물과 달리 고양이는 강한 무리 정신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다른 고양이나 동물과 사회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지만 행복을 위해 그룹 상호 작용에 의존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동일한 집단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지속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선택적 사회화:  고양이의 사회화 선호도는 다양합니다. 즉, 고양이마다 고유한 성격이 달라서 일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즐기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고양이는 고독과 독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적 사회화는 많은 고양이 종의 특징입니다. 영토에 대한 행동: 고양이는 영토 동물이며, 각 고양이는 영역을 설정하고 방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사회 구조의 핵심 측면입니다. 영역은 얼굴, 발, 꼬리에 있는 후각샘을 사용하여 표시됩니다. 영역의 경계에 침범할 때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회 집단: 고양이는 흔히 혼자 지내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특히 자원이 풍부한 환경에서는 느슨한 사회 집단을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

Is Pi Coin really a scam? (파이코인은 정말 사기(스캠)일까?)

The Pi coin is an altcoin (meaning a late cryptocurrency other than Bitcoin) released on March 14, 2019, and is a virtual asset with the concept of mining coins through idle resources of mobile smartphones. It is popular because you can easily mine coins on your phone by  downloading the Pi Network app and pressing the mining button every 24 hours. M ining does not affect your phone's performance and does not consume any batteries.  It's mined when you turn off your phone, and it's  also  mined without any data, which means you don't use the network, so it's unclear if this can actually be called mining. So, let’s take a look at the reasons why PiCoin is suspected of being a scam one by one.  1.  Can cryptocurrency minting be considered mining? Picoin said in its white paper, “Picoin defines mining more broadly than the traditional meaning of running a proof-of-work consensus algorithm as in Bitcoin or Ethereum,  and it is also considered mining to rec...